‘쿠팡 단독’·‘FDA 인증’ 등 쓰면 상품 노출 정지도
서울 시내 한 쿠팡 물류센터. [연합] |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쿠팡이 셀러(판매자) 상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나섰다.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소비자 불만이 늘어나는 가운데 차별화 전략으로 풀이된다.
1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쿠팡은 최근 셀러들에게 상품등록 정책 위반에 대한 모니터링(관리)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공지했다.
모니터링 대상은 카테고리 오등록, 스팸성 키워드 사용, 대표 이미지 등록 정책 위반 등 크게 세 가지다. 카테고리 오등록의 경우 판매 중인 상품과 관련 없는 카테고리에 상품을 등록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상품명에 스팸성 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로는 다양한 유형을 제시했다. 상품과 무관한 상표를 사용하거나 상품정보와 관련 없는 단어를 무작위로 나열한 경우, 부정확한 상품명을 입력한 경우, 비표준어, 허위·과장 광고 등 기본적인 사항에 더해 ‘쿠팡 단독’ 등 증빙하기 어려운 문구나 ‘FDA(미국 식품의약국) 인증’ 등 사실 증명이 어려운 문구, ‘세계 최초’ 등 객관성이 결여된 최상급 표현 등도 제재 대상이다.
아울러 시험이나 검사, 인증 내역을 비롯해 인지도, 선호도 등 등수나 특가 관련 문구, 그리고 사회 통념상 부적절한 표현과 문구에 대한 관리도 강화한다. 또 상품 판매 대표 이미지에 여러 콘텐츠를 합성하거나 결합한 이미지를 쓰는 것도 제재 대상에 포함했다.
쿠팡은 이런 정책 사항 위반이 발견되면 해당 상품의 노출을 정지할 계획이다. 위반을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하는 셀러에게는 판매 활동을 제한한다고 예고했다.
이처럼 쿠팡이 셀러들의 판매에 대해 관리를 강화하고 나선 건 고객에게 최적의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이다. 쿠팡은 제조사로부터 물건을 직접 공급받아 판매하는 직매입 비중이 90%에 달한다. 셀러들이 각자 물건을 파는 ‘오픈마켓’ 비중이 크지 않지만, 이들 상품까지 관리를 강화해 소비자 신뢰를 높이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업계는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와 차별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한다. 중국계 이커머스들이 최근 조 단위 투자를 계획하며 국내 영향력을 키우고 있지만, 여전히 허위·과장광고나 가품 이슈 등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못 벗어나고 있어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국제거래 소비자 상담 건수는 1만9418건으로 전년(1만6608건)보다 16.9% 증가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관련된 상담 건수는 2022년 228건에서 지난해 673건으로 약 세 배 늘었다. 품목별로는 항공권·항공 서비스가 5254건(27.7%)이었고 의류·신발 4665건(24.6%), 숙박 2331건(12.3%) 순이었다.
불만 이유로는 취소·환급 등의 지연 및 거부가 7521건(38.7%)으로 가장 많았다. 배송 관련 불만(2647건),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 및 가격 불만(2271건) 등이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쿠팡에서 오픈마켓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이들 상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면서 전체적으로 상품 페이지를 정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알리익스프레스가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쿠팡은 믿고 살 수 있는 곳’이라는 차별화 포인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imsta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