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외로 간 편의점…‘마스터 프랜차이즈’ 선호 이유는? [언박싱]
GS25·CU·이마트24, 모두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해외 사업
적은 투자 비용으로 와형 확장…현지 소비 흐름 기민한 대응
CU 말레이시아 점포. [BGF리테일 제공]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해외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내 편의점들이 현지 업체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으로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현지 소비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해외에 진출한 GS25·CU·이마트24 등 국내 편의점들은 모두 현지 업체에 운영을 맡기고, 로열티(사업 운영료)를 받는 방식의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 사업 진출 방식은 마스터 프랜차이즈와 직진출, 두 가지로 나뉜다.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가맹 사업자인 본사가 해외에 직접 진출하는 대신, 진출 국가에 있는 현지 회사와 계약을 맺는 방식이다.

본사는 투자 비용을 적게 들이는 동시에 상표권 사용료를 챙길 수 있다. 현지 법률, 시장 동향, 상권 분석 등 의사결정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다. 고객 서비스나 품질은 파트너사의 역량에 의존한다. 리스크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이 과제로 꼽힌다.

직진출은 말 그대로 본사가 직접 해외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마스터 프랜차이즈와 정반대다. 투자 비용과 그에 따른 손실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로열티를 받는 마스터 프랜차이즈보다 수익성이 높다. 직접 사업을 운영해 시행착오도 줄일 수도 있다.

현재 GS25·CU·이마트24 등 국내 편의점 업체의 해외 점포 운영 사업은 모두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다.

박진순(왼쪽부터) 한림건축그룹 회장, 박정욱 주캄보디아 대한민국대사, 강인석 이마트24 상무, 데이비드 샘보 사이한 파트너스 대표, 옥 쁘러찌어 캄보디아 상무부 차관이 이마트24의 캄보디아 진출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마트24 제공]

GS25는 베트남과 몽골에서 점포를 늘리고 있다. 1월 말 기준 252점, 275점으로 총 527곳의 점포를 운영 중이다. 진출 첫해인 2018년(26점)보다 20배 늘어난 규모다.

GS25 역시 모두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현지 기업 ‘손킴 그룹(Sonkim Group)’과 만든 합작법인에 지분 30%를 투자하면서 직진출 형태로 발을 들였지만, 그 이후 사실상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전환했다. 초기 지분 투자 외에 발생하는 사업 비용은 손킴 그룹이 전담하고 있다. 베트남 다음으로 진출한 몽골에선 현지 회사인 ‘숀콜라이 그룹(Shon Kolai group)’과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맺었다.

CU도 같은 방식으로 몽골과 말레이시아에 진출했다. ‘센트럴 익스프레스(Central Express)’와 ‘마이뉴스 홀딩스(Mynews Holdings)’라는 현지 기업과 계약을 맺었다. 현재 점포 수는 몽골 370점, 말레이시아 140점 등이다. 올해 상반기엔 카자흐스탄에 1호점을 연다. 이를 위해 지난해 6월 현지 ‘신라인(Shin-Line)의 신설 법인 ‘CU 센트럴 아시아(Central Asia)’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이마트24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상반기 캄보디아에 첫 점포를 연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는 각각 46곳, 3곳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현지 기업 ‘유나이티드 프론티어스 홀딩스(United Frontiers Holdings)’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었다. 싱가포르에서는 현지 투자자들의 합작 법인이자 싱가포르 현지 기업인 ‘이마트24 싱가포르(Emart24 Singapore Pte. Ltd.)’와 손을 잡았다. 캄보디아도 현지 업체 ‘사이손 브라더 홀딩’(SAISONS BROTHER HOLDING CO.,LTD)과 ‘한림건축그룹’(Hanlim Architecture Group)의 합작법인 ‘사이한 파트너스(SAIHAN Partners)’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한 편의점 업체 관계자는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초기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면서 외형을 키울 수 있어 규모 확장을 추구하는 편의점 업계에 유리한 구조”라며 “다른 산업에 비해 유행이나 소비 형태에 민감한 유통 업계의 특성상 현지 기업에 맡기는 방식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kimst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