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청년 백수’ 126만...속 빈 고용률 호황의 현주소

졸업했지만 일자리 없는 ‘청년 백수’가 12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종 졸업자 열 명 중 3, 4명은 미취업 상태다. 아예 구직활동이나 준비를 단념하고 ‘그냥 쉰다’는 청년도 32만명가량 된다. 이렇게 일을 하지 않는 청년들이 느는 배경은 여러 가지일 것이다. 꼼꼼한 맞춤 대책이 시급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 841만6000명 가운데 졸업자는 452만1000명이고, 126만1000명이 미취업 상태였다. 이중 대졸 이상이 67만8000명으로, 절반을 차지한다. 첫 취업에 평균 10.4개월이 걸렸고, 2년 이상 걸린 청년도 59만1000명(15.3%)이나 된다. 오랜 시간과 자원을 들여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위한 공부시간이 많이 필요했다는 얘기다.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25.4%)는 청년도 4명 중 1명꼴로 나왔다. 상반기 고용률(62.2%)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 전 연령층에서 경제활동이 늘었는데도 청년층만 유일하게 고용률(-0.4%)이 하락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젊은 층이 일해야 할 자리가 줄고 노인들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구조는 건강하지 못하다.

문제는 청년들의 미취업기간이 길어져 무직 상태가 장기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취업기간이 상대적으로 긴(1년 이상) 청년 비율이 43.6%에서 45.3%로 늘어나고 1년 미만은 줄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갈수록 채용문이 좁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인크루트가 최근 국내 기업 727곳을 대상으로 채용 동향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채용계획을 확정한 대기업은 지난해보다 1.6%포인트 줄었고 중견기업과 중소기업도 각각 9.6%포인트, 9.1%포인트 하락했다. 고용인력도 기업 1곳당 평균 12.7명을 고용, 상반기(19.3명)보다도 못하다.

원하는 좋은 일자리가 줄면 취업준비기간도 늘고 종국에는 구직을 단념하는 청년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결국 기업의 좋은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져야 하지만 속도는 더디다. 정부로서는 기업이 고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고 변하는 산업구조에 맞춰 관련 기술교육을 지원·강화할 필요가 있다.

청년들이 일하기를 포기하지 않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일을 갖지 못하는 기간이 늘어나면 경제적 불안정은 물론 사회적 네트워크가 약해질 수 있다.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결하는 것도 과제다. 학생들이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따로 상당 기간 공부해야 하는 것은 사회적 낭비다. 반짝 고용률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우리 경제의 주축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제대로 된 대책이 나와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