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P연합’ 재연? ‘文 · 安 단일화’ 답습?
지난 2일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무소속 의원은 통합 신당 창당을 선언하면서,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교체를 목표로 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야권의 통합이다. 한국 정치사엔 두 번의 야권 대통합이 있었다. 지난 1996년에 있었던 ‘DJP연합’과 지난 2012년 ‘문재인-안철수’ 단일화 선언 등이다. 첫 번째는 성공으로, 두 번째는 실패로 기록됐다. 세 번째로 시도되는 ‘김한길-안철수 통합’의 결론이 희극이 될지, 비극이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우선 ‘DJP 연합’과 ‘김-안 통합’은 여러 면에서 닮아 있다. 첫째론 당내 반발이다. DJP 연합은 한국 정치사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정치적 성향이 반대인 두 세력의 통합이었다. 당내 반발도 당연히 뒤따랐다. 당시 충청계 인사들과 중립파 의원들은 적극적인 반대를 표명했지만, TK민정계는 찬성을 표했다.
‘김-안 통합’은 민주당 내에선 ‘찬성’측 입장이, 안 의원 측에선 반대 입장이 우세한 것으로 전해진다. 문재인 의원이 통합 선언 직후 발빠르게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 역시 당 내 다수파인 친노계 의원들의 반발을 진정시키기 위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2012년 ‘문-안 통합’ 때엔 찬성이 압도적이었다. 북한 문제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정책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문 후보와 안 후보의 ‘야권 대통합’에 대한 국민적 지지도 높았다. 통합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야권 통합 후보가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지지율을 넘어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DJP연합의 경우 당내 반발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역사상 첫 정권교체라는 ‘성공’을 거둬들였다. 광복 이후 50여년 만에 이뤄진 첫 수평적 교체가 ‘DJP 연합’의 결과 덕에 가능했다.
그러나 ‘문-안 통합’은 실패했다. 양측은 경선 룰에 대한 입장차를 마지막까지 좁히지 못했고, 안 의원의 눈물어린 사퇴 기자회견, 대선 당일 안 의원의 출국 등은 내부 갈등이 외부화된 단초로 해석된다.
‘김-안 통합’은 불과 2~3일 사이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다. 김 대표는 지방선거 참패론 때문에 리더십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당 내에서 불거지고 있었고, 안 의원은 인물 영입난과 자금난 등 때문에 창당이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양측 모두 서로를 필요로 하던 때에 던져진 ‘통합론’에 반색한 이유다.
1996년과 2012년 두 번의 야권 통합과 이번 통합이 다른 점도 있다. 과거 두 번의 경우엔 대통령 선거가 임박해 이뤄졌지만 이번 통합은 대통령 선거를 3년 넘게 남겨둔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이다. 대선까지의 기간이 많이 남은 만큼 양측의 화학적 연대로 발전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양측은 지분을 ‘5대5’로 나누기로 했지만 이에 대한 지분 다툼이 어떻게 진행될지는 여전히 변수다. DJP 연합의 경우 ‘김대중 대통령-김종필 총리’ 약속이 오갔지만, 김대중 대통령 당선 이후 김종필 총재는 총리를 맡지 않았다. 안 의원 측이 인물 영입난을 겪고 있는 만큼 명확한 5대5 지분 나눔은 쉽지 않은 상태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